RSS구독하기:SUBSCRIBE TO RSS FEED
즐겨찾기추가:ADD FAVORITE
글쓰기:POST
관리자:ADMINISTRATOR
'man'에 해당되는 글 1

출처 : 대전국제IT교육센터 정성재 강사

 

1. man(manual)
(1) 설명: 로컬시스템상에서 여러 참고 문서들을 이용하여 특정 명령이나 자원들의 메뉴얼을 출력하
          는 명령이다. 전통적으로 유닉스에서는 총 8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현재 리눅스에서는 총
          9권의 메뉴얼로 구성되어 있다. 추가로 설치한 프로그램이나 명령어들에 대해서도 man 페
          이지에 추가할 수 있다.
(2) 기본 메뉴얼: Section에 해당한다.
   1) man1 - Shell Utilities and User commands
       => 사용자 명령(쉘 명령)이 들어있다.
   2) man2 - Systems Calls
       => 리눅스 프로그래밍을 위한 시스템 호출과 관련된 내용이 들어있다.
   3) man3 - library functions
       => 리눅스 라이브러리 함수와 관련된 내용이 들어있다.
   4) man4 - Devices and Devices Drivers
       => 관련 장치나 장치 드라이버, 특수파일(FIFO, 소켓 등)에 대한 내용이 들어있다.
   5) man5 - Files Formats
       => /etc/passwd 나 /etc/inittab 파일 등의 형식을 알려준다.
   6) man6 - Games
       => 게임과 관련된 정보가 들어있다.
   7) man7 - Linux system files ans conventions
       => 리눅스 시스템 파일 관련 표준, 규칙, 프로토콜, 문자셋, 시그널 목록등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다.
   8) man8 - System Administrative utility definitions
       =>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유틸리티에 관한 정보가 들어 있다.
   9) man9 - Linux kernel routines
       => 리눅스에만 있는 메뉴얼 섹션으로 커널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3) 사용법
   man [options] [section] command
   man [options] [section] 파일명
    => man 명령을 실행하면 less 명령형태의 페이지 단위로 보여준다.
      (간단한 사용법)
        [SPACE] : 한 페이지 밑으로 내려간다.
        [ENTER] : 한 줄 밑으로 내려간다.
        [b]: 전 페이지로 올라간다.
        [q]: man 명령을 종료한다.
(4) options
   -k 키워드 : 해당 '키워드'가 발견되는 모든 메뉴얼의 내용을 검색하여 보여준다.
   -f 키워드 : 해당 '키워드'에 대한 간략한 개요와 정보를 보여준다.
   -w 키워드 : '메뉴얼페이지' 파일의 위치를 보여준다.
(5) 사용예
   1) [posein@www posein]$ man ls
       => ls 명령어의 메뉴얼 페이지를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Section값을 지정하지 않으면 첫번째
         섹션의 페이지를 보여준다.
   2) [posein@www posein]$ man man
       => man 명령어의 메뉴얼 페이지를 보여준다.
   3) [posein@www posein]$ man -k passwd
      SSL_CTX_set_default_passwd_cb (3ssl)  - set passwd callback for encrypted PEM file handling
      SSL_CTX_set_default_passwd_cb_userdata [SSL_CTX_set_default_passwd_cb] (3ssl)  - set passwd callbacg
      afppasswd            (1)  - netatalk password maintenance utility
      chpasswd             (8)  - update password file in batch
      ckpasswd             (1)  - nnrpd password authenticator
      gpasswd              (1)  - administer the /etc/group file
      hesiod_free_passwd [hesiod_getpwnam] (3)  - Hesiod functions for retrieving passwd information
      hesiod_getpwnam      (3)  - Hesiod functions for retrieving passwd information
      hesiod_getpwuid [hesiod_getpwnam] (3)  - Hesiod functions for retrieving passwd information
      kpasswd              (1)  - change a user's Kerberos password
      ldappasswd           (1)  - change the password of an LDAP entry
      lppasswd             (1)  - add, change, or delete digest passwords
      mkpasswd             (1)  - generate new password, optionally apply it to a user
      nwpasswd             (1)  - Change a user's password
      pam_localuser        (8)  - require users to be listed in /etc/passwd
      passwd               (1)  - update a user's authentication tokens(s)
      passwd               (5)  - password file
        --이하 생략--
        => passwd라는 키워드가 포함된 메뉴얼 페이지를 찾아준다. 'apropos passwd' 명령과 같다.
   4) [posein@www posein]$ man -f mkdir
      mkdir                (1)  - make directories
      mkdir                (2)  - create a directory
       => mkdir의 간략한 개요와 정보를 보여준다. 현재 mkdir은 첫번째 섹션인 명령어부분과 두번
         째 섹션인 시스템콜부분에 메뉴얼페이지가 존재한다. 'whatis mkdir'와 같다.
   5) [posein@www posein]$ man 1 mkdir
       => 첫번째 섹션에 속하는 명령어로써의 메뉴얼페이지를 보여준다. 현재 이 명령은 섹션을 생
         략하고 man mkdir 한것과 같다. man은 첫번째 섹션부터 검색하여 가장 먼저 검색되는 메뉴
         얼 페이지를 보여준다.
   6) [posein@www posein]$ man 2 mkdir
       => 두번째 섹션에 속하는 시스템콜로서의 메뉴얼페이지를 보여준다.
   7) [posein@www posein]$ man -w mkdir
      /usr/share/man/man1/mkdir.1.gz
       => mkdir의 '메뉴얼페이지'파일의 경로를 보여준다.
(6) man명령의 메뉴얼 페이지 내용
   1) 이름(NAME) : 파일이나 명령어의 이름과 내용을 요약해서 보여준다.
   2) 개요(SYNOPSYS) : 사용법을 말한다.
   3) 설명(DESCRIPTION) : 자세한 설명을 보여준다.
   4) 옵션(OPTIONS) : 옵션 목록을 보여준다.
   5) 파일(FILES) : 관련된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6) 관련메뉴얼(SEE ALSO) : 관련된 메뉴얼페이지를 보여준다.
   7) 버그(BUGS)
   8) 저자(AUTHOR)
(7) 관련명령어
   1) manpath
    ㄱ. 설명: man 명령이 참조하는 메뉴얼페이지의 경로를 보여준다.
    ㄴ. 사용법
        manpath
    ㄷ. 사용예
       [posein@www posein]$ manpath
       /usr/kerberos/man:/usr/local/man:/usr/share/man:/usr/X11R6/man
(8) 참고
   1) 설명: 추가로 설치한 응용프로그램을 man페이지에 추가하기
   2) 사용법
     보통 소스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설치된 디렉토리에 man이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이
    디렉토리에 man용 메뉴얼 페이지의 내용이 들어있다. 이 man이라는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을 man
    명령이 참조하는 디렉토리인 /usr/local/man(이 디렉토리가 추가로 설치한 응용프로그램들의 메
    뉴얼 페이지가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8.0버전인 경우에는 /usr/share/man디렉토리가 메뉴얼 페
    지 디렉토리이다.안의 맞는 Section 디렉토리에 넣어주면 된다.
   3) 사용예
    ㄱ. squid를 소스로 /usr/local/squid라는 디렉토리에 설치하면 이 디렉토리안에 man이라는 디
       렉토리가 있다. 이 디렉토리안에 man8이라는 디렉토리가 있고 그 안에 squid.8이라는 파일을
       확인한다.
    ㄴ. squid.8이라는 파일을 /usr/local/man/man8 디렉토리안에 복사한다.
    ㄷ. man squid 라고 치면 메뉴얼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2. whatis
(1) 설명: man page의 이름과 개요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man -f' 와 같다.
(2) 사용법
    whatis 키워드
(3) 사용예
   [posein@www posein]$ whatis mkdir
   mkdir                (1)  - make directories
   mkdir                (2)  - create a directory

3. apropos
(1) 설명: 메뉴얼페이지에서 해당키워드가 있는 메뉴얼페이지를 찾아준다. 'man -k' 와 같다.
(2) 사용법
    apropos 키워드
(3) 사용예
    [posein@www posein]$ apropos lilo
    grubby               (8)  - command line tool for configuring grub, lilo, and elilo
    lilo                 (8)  - install boot loader
    lilo.conf [lilo]     (5)  - configuration file for lilo

4. makewhatis
(1) 설명: 새로운 메뉴얼페이지 추가시 관련 데이터 갱신시켜주는 명령어이다.
(2) 사용법
   makewhatis

5. info
(1) 설명: man 명령처럼 특정한 명령어에 대한 메뉴얼 페이지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제공되지
          않는 명령어가 있다.
(2) 사용법
   info 명령어
(3) 사용예
   info ls
    => (간단한 사용법)
        [n] : 다음 페이지를 보여준다.
        [p] : 이전 페이지를 보여준다.
        [q] : 종료한다.
(참고) 리눅스도움말
(1) 개요: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로컬시스템상의 도움말에는 전통적인 man이외에 자유소프트웨어재단
          (FSF)에서 후원하는 GNU 형식의 info, --help 등이 있다.
(2) 종류
   1) man
    ㄱ. 설명: 유닉스시절부터 사용하던 전통적인 방법이다. 명령어뿐만아니라 환경설정파일등에
             대해서도 메뉴얼페이지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양이 방대하고 자세하다.
    ㄴ. 사용예
       man ls
   2) info
    ㄱ. 설명: man 에 비해 간략하고 제공되는 파일의 양도 그리 많지 않다. GNU에서 후원한다.
    ㄴ. 사용예
       info ls
   3) --help
    ㄱ. 설명: 명령어 사용에 대한 간단한 설명, 옵션을 볼 수 있다.
    ㄴ. 사용예
       ls --help

6. 인터넷에서 리눅스 도움 문서 찾기
(1) LDP(Linux Documentation Project)
    리눅스 문서화 프로젝트는 리눅스에 대한 체계화된 문서를 만들기 위해 구성된 조직으로 일정한
   문서형태를 갖추고 있다. 공식사이트는 http://www.linuxdoc.org이다. 우리나라에는
   http://www.kldp.org 라는 리눅스 한글 문서 프로젝트라는 사이트가 있다.
(2) 유즈넷 뉴스그룹(Usenet Newsgroups)
   1) 설명: 리눅스에 대한 질문과 답을 보고 토론을 할 수 있는 게시판이다. 뉴스그룹을 이용하려
           면 google.com 사이트의 뉴스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2) 유용한 뉴스그룹
     comp.os.linux : 리눅스에 대한 일반토론
     comp.os.linux.answers : 리눅스에 대한 질문과 답변들
     han.comp.os.linux : 한글 리눅스에 대한 토론
(3) 메일링리스트(Mailing List) : 리눅스 배포판업체, 관리자들이나 사용자의 모임의 메일링리스트
                                를 통해 질문과 답변, 리눅스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Trackback
Reply
우주곰:지구곰이 아닙니다.
지구곰이 아닙니다.
Categories (190)
Information (5)
About uzoogom (5)
Blah.. blah.. (5)
My Advanced Linux (73)
RedHat Knowledge (10)
Advanced Linux (47)
Virtualization (7)
HA clustering (2)
Bash shell scripts (6)
Learning Linux (96)
Fundamental (41)
AdminCourse (32)
Security (23)
OperatingSystem (5)
AIX (2)
HPUX (3)
Databases (4)
Oralce (3)
Mysql (1)
OpenSource (1)
Tips! (1)
«   2025/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