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대전국제 IT교육센터 정성재 강사
1. RHEL 4에서의 네트워크 설치
개요
RHEL 4에서도 리눅스 설치시 원격지에 FTP, NFS 서버 등으로 구축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치할
수 있다. RHEL 3 이전 버전과 달라진 점은 서버 구성은 같으나, 클라이언트의 CD-ROM 디렉토리의
경로가 다르고,
또한 설치 디스크의 이미지가 커져서 3.5" 플로피 디스크를 통한 설치가 불가능하다.
CD-ROM 드라이브의 경로는 기존의
/mnt/cdrom에서 /mnt/media로 변경되었고, 플로피 디스크
대신에 리눅스 설치 1번 CD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2. 리눅스 네트워크서버 설정 -NFS 서버이용
(1) 서버에 설치를
위한 소스 복사
1) 설명: RHEL 4 버전인 경우에는 설치 CD에서 rpm패키지가 들어있는 RedHat디렉토리를 그대로
복사해야 한다.
2) 방법
ㄱ. 소스가 위치할 디렉토리 생성
[root@www root]# mkdir /redhat
=> 설치 디스크를 1번부터 4번장까지 복사해야 하므로
3-4GB의 여유 공간의 필요하다.
ㄴ. 설치 CD 1번을 넣고 마운트한다.
[root@www root]#
mount /media/cdrom
=> RHEL 4부터 CD-ROM의 마운트 디렉토리가 /mnt/cdrom에서
/media/cdrom으로 변경되었다.
ㄷ. rpm패키지를 /redhat에 복사한다.
[root@www
root]# cp -a /mnt/cdrom/RedHat /redhat
ㄹ. 복사가 다 되었으면 마운트를 해제한다.
[root@www root]# umount /media/cdrom
ㅁ. 설치 디스크 2번 부터는 마운트하여 rpm패키지가 들어 있는
디렉토리인
/media/cdrom/RedHat/RPMS/안의 내용만 복사하면 된다.
[root@www
root]# cp /media/cdrom/RedHat/RPMS/* /redhat/RedHat/RPMS
(2) NFS서버로 구축하기: 자세한
설명은 NFS서버 구축하기 참고
1) /etc/exports 파일설정
ㄱ. 기본설정법
설치소스경로 클라이언트주소
ㄴ. 설정예
/redhat *
=>
/redhat 이라는 디렉토리에 모든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허가하였다.
2) NFS 서버를 작동한다.
ㄱ.
/etc/rc.d/init.d/portmap start (보통 이 데몬은 기본적으로 작동한다.)
ㄴ.
/etc/rc.d/int.d/nfs start
(3) 네트워크 서버간의 차이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리눅스를 설치 할 경우
FTP, HTTP, NFS 서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중 NFS서버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아나콘다를 이용한 그래픽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3. 클라이언트 설정 - NFS 서버 이용
(1) 개요:
RHEL 3 버전까지는 부팅용 설치 디스크를 만들어서 사용했으나, RHEL 4에서는 설치용
부팅디스크를 만들 수가
없다. 최근 플로피 디스크없이 CD-ROM만 기본 장착한 시스템들이
많아 설치 CD 1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설치가
가능하다.
(2) 설치순서
1) 설치 디스크 1번을 넣고 부팅한다.
2) 초기화면이 뜨고 'boot:'라는
프롬프트가 나타나면 'linux askmethod'라고 입력하고
[Enter]키를 누른다.
3) 사용할 언어를
선택한다.(기본 English 선택)
4) 키보드를 선택한다.(기본 us 선택)
5) 인스톨 방법을 선택한다. NFS
image, FTP, HTTP 방법이 있으며 이중에서 NFS image를 고른다.
6)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한다. eth0이나
eth1 등 맞는 것을 선택한다.
7) TCP/IP 네트워크 설정을 한다. 해당 IP, Netmask, Gateway값등을
설정한다.
8) NFS 서버를 설정한다.
ㄱ. NFS server name : 서버네임이나 IP주소를
적는다.
예) 192.168.4.100
ㄴ. RedHat Enterprise Linux directory :
설치소스의 경로를 적는다.
예) /redhat
9) 설치를 시작한다.